
Figma : https://www.figma.com/design/uXhSyx6tDu0p9uwUZkNN5g/2024-2-창의학기제?node-id=97-307&p=f&t=QQ8bKz7UzOnhQVGd-0
Link : https://github.com/2024-2-Sejong
[프로젝트 소개]
보고서, 발표 링크 : http://classic.sejong.ac.kr/classic/creative/report-board.do?mode=view&articleNo=1114&article.offset=24&articleLimit=12
- Python을 이용해 크롤링한 백준사이트의 문제들을 바탕으로 AI가 사용자 맞춤으로 문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
- 초기 로그인시 사용자가 느끼는 카테고리별 체감 난이도를 받은 후 해당값을 입력으로 사용해 AI서버에 전달해주면 그 내용을 바탕으로 추천 문제가 return으로 온다. return값을 통해 사용자별 추천문제를 사이트에 띄워준다.
[사용 기술]
React
, TypeScript
, vite
axios
, styled-component
, framer-motion
, react-router
, tanstack query
, react-hook-form
, react-helmet-async
[역할]
[배운점]
- 디자이너와 함께 wireframe을 제작하면서 ,사용자 흐름을 고려하며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한 UI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. 이를 바탕으로 의견교환 후 wireframe을 제작할 수 있었다.